근본적인 문제를 직시하고 해결하지 않는다면, 우리는 항상 무언가와 씨름하게 될 것입니다. 제가 아는 한 우리는 집단적으로 이러한 문제들을 무시해 왔습니다.
한국어
-
-
최근에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드러난 이 세상의 취약성이 이 단순한 진리를 보여주고 있습니다.
-
저는 최근 들어 이런 시기에 얼마나 소망을 잃기 쉬운지 곰곰이 생각해 보았습니다. 하지만 그래도 우리의 소망은 그리스도입니다.
-
각 그룹 내의 중도파는 대개 가장 취약하고 소외됩니다.
-
우리는 기독교인으로서 만물을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 사용하도록 부르심 받았습니다. 여기에는 우리가 과학기술을 어떻게 사용하느냐도 포함됩니다.
-
우리가 사랑해야 할 사람들이 얽힌 실제적이고 복잡한 문제까지도 대부분 지식적으로 접근하려는 경향이 있는 것 같습니다.
-
야망은 현재를 보는 시각을 흐리게 하고 하나님께서 매일 베푸시는 축복을 간과하게 합니다.
-
우리는 성경 한 구절에서 마음에 드는 절반만 취하고 나머지 절반을 무시할 수 없습니다.
-
마태복음 2:13-15은 예수님의 탄생 이후 마리아와 요셉의 이집트 여행 이야기를 들려줍니다.
-
이러한 사실은 지난 몇 년 동안 사회적 병폐, 갈등 및 하나님의 백성들에게 닥친 도전들로 이루어진 긴 목록 중의 몇 개에 지나지 않습니다.
-
비록 우리가 물리적으로 어쩔 수 없이 떨어져 있지만 성령의 능력으로 한 몸으로 묶여지는 것이 가능합니까?
-
우리가 자신의 영적 교만을 충족시키기 위해 성경을 길들여왔는지 아닌지는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? 여기 최소한 세 가지 주된 징후가 있습니다.
-
성경에서 그리고 지금도 하나님은 “부르심을 받은 사람들”로서 타락한 창조세계에서 살라고 초청하십니다.
-
제가 보기에 기독교 영성은 전인적인 것입니다.
-
비록 2013년 보고서에서 다루었을지라도 저는 이러한 두려움들이 얼마나 공개적으로 인식되어왔고 북미주 개혁교회 리더들이 얼마나 투명하게 씨름해왔는지 궁금합니다.
-
하나님이 무엇을 하고 계시는지, 무엇을 하실 수 있는지 봅시다.
-
지난 한 해 동안 수많은 행사에서 저는 코로나 바이러스 및 우리 사회에서 일어나는 큼직한 사건들을 돌아보았습니다.
-
지난 5월 브리티쉬 콜롬비아 캠룹스에 있는 원주민 어린이 기숙학교 부지에서 215구의 무명의 어린이 시체가 묻힌 것이 발견된 소식이 캐나다를 뒤흔들었습니다.
-
계절의 변화에 따라 우리 주변 환경의 변화의 증거 뿐 아니라 개인의 태도와 행동의 변화 또한 보게 됩니다.
-
우리가 자부하는 교단 전체의 장점들이 교인 감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면 지금쯤 다 해결되었어야 하지 않을까요?
-
이 모든 성공사례가 들리는 가운데에서도 우리가 더 많은 일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. 우리 교단의 모든 부문은 성장전략을 필요로 합니다.
-
우리의 말을 통해서 우리가 하나님의 형상으로 창조된 사람들을 축소시키고 우리 마음 속에서 조롱의 대상으로 삼을 때, 우리는 그들을 사람보다 못한 존재로 만드는 것입니다
-
지난 해는 힘든 한 해였습니다. 하지만 소망이 있습니다.
-
오늘날 북미주 개혁교회에는 다양한 사람들로 구성된 교회들이 점점 더 많아지고 있습니다.